본문 바로가기

책이야기

2014년 9번째 책, 드니르보. (2007). 생각정리의기술.

아이디어나 생각을 기술할 때, 단선적으로 써 내려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 책은 그것이 전체 구조를 읽고 생각들 사이의 연관관계를 파악하는데 매우 비효율적이라고 말한다. 결국 효과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법이 내재된 새로운 혁신적 메모의 기술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마인드맵이라는 것이다. 

 

결국 이 책의 목표는 마인드 맵으로 사람들을 이끌기 위한 지침서라고 보면 되겠다. 토니 부잔이 개발한 마인드맵이야 말로 천재들의 사고법이 스며든 최고의 필기법이라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마인드 맵을 어떻게 그려야 하는지보다는 어떻게 활용이 되어야 하는지, 왜 중요한지, 그 가치에 더 집중한 느낌이다. 한마디로 삶의 전반에서 마인드맵을 사용하라는 것이다.

 

대부분의 아이디어 초안을 이미 마인드맵으로 작성하고 있는 나로서는 그다지 크게 와 닿지는 않는 책이었다. 아직 마인드맵을 사용해 보지 못하였고, 그 효용성을 잘 모르는 독자들에게는 매우 유익할 것이라 생각된다.

 

프로젝트 진행도 마인드맵이 매우 유리하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으나, 사실 프로젝트 관리 툴을 따라가기는 힘든것이 옳다고 봐야 한다. 맥에서는 옴니플랜이 있을 것이고, 윈도우에서는 엠에스 프로젝트가 아마도 대표적인 프로젝트 관리 툴이 아닐까 생각된다.⁠1

 

이 책에서 가장 유익했던 부분이 아마도 의사결정 과정이 아닌가 싶다. 의사 결정 과정에서 마인드맵으로 여러 문제점들을 나열하고, 그 대안에 관한 가지를 그려 놓되, 전체를 다 굳이 채울 필요는 없다. 이후 결정된 최종 안을 중심 키워드로 놓고 다시 한번 마인드맵을 그린다. 그리고 최초의 논리적 흐름과 동일한지 다시한번 검증하는 것이다. 앞으로 의사 결정시에 써먹을 만한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된다.⁠2 

 

“마인드맵을 쓸 때의 이점

커지는 자신감

사고의 자율성

기억력의 향상

학습에 의한 열정

복잡한 상황에서 침착한 대처

새로운 자원을 활용하는 기쁨

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서 오는 만족감

논리 정연한 주장 전개

자신의 지식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다는 느낌⁠3

NewImage

 

 

 

 

 

 

 

 

 

 

 

 

anImage_3.tiff

1 드니르보. (2007). 생각정리의기술.149-89.

2 드니르보. (2007). 생각정리의기술.69-86.

3 드니르보. (2007). 생각정리의기술.22.